본문 바로가기
자격증(요양보호사)/요양보호각론1

Ⅰ. 신체활동 지원 : 감염성 질환 예방

by 그레잇홉스 2023. 2. 6.

 

7. 감염성 질환 예방

 

1) 감염

 

(1) 감염의 증상

 

- 감염이 발생하는 부위

: 열감, 발적, 통증, 부종, 삼출액 증가

- 호흡기계 감염

: 인후통, 기침, 객담, 호흡곤란 등

- 요로 감염

: 하복부통, 배뇨통, 빈뇨, 잔뇨감, 급박뇨, 야뇨,

소변색의 변화, 악취가 나는 소변,  요도 분비물, 요도 소양감,

발열, 오한, 옆구리 통증, 오심, 구토, 설사

- 전신 증상

: 안면홍조, 발열, 발진, 피곤, 의욕 상실,

두통, 근육통, 빈맥(100회/1min),

식욕저하, 탈수

 

(2) 감염 예방 방법

 

손 씻기

: 감염예방에서 가장 기본적이고

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

 

 

- 식사 전, 화장실 사용 후, 객담이나 상처배액 등

대상자의 신체분비물을 만진

장갑을 착용했더라도 반드시 손을 씻음

- 흐르는 미온수로 손을 적시고 항균 액체 비누를 바름

(고체비누 사용x)

- 비누와 물이 손의 모든 표면에 묻도록 하고

손씻기 6단계를 시행

- 흐르는 온수로 비누를 헹구어 낸 후

일회용 수건 등으로 손의 물기를 제거하고

사용한 수건은 세탁하여 건조한 후 사용

 

② 분비물 처리

 

- 배설물을 만질 때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며,

오염된 세탁물은 격리장소에 따로 배출함

- 가정에서는 배설물이 묻은 의류나 물건을

따로 세탁하거나 씻음

- 대상자 물품에 혈액이나 체액이 묻은 경우

찬물로 닦고 더운 물로 헹구며 필요시 소독함

- 배설물 처리 후에는 장갑을 착용하였더라도 손을 씻음

 

③ 대상자 위생관리

 

- 대상자의 피부, 옷, 침구에 땀이나 분비물이 많아지면

미생물이 번식해 감염의 요인이 되므로 청결 유지

 

④ 요양보호사 위생관리

 

-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

대상자에게 감염전파 위험도 줄일 수 있음

- 매일 샤워나 목욕을 하며, 자주 칫솔질함

- 손을 자주 씻고 로션을 발라 보습함

- 손톱은 짧게 깍고, 가운이나 신발을 깨끗하게 유지

- 대상자와 접촉할 때는 분비물이 묻지 않게 주의하며,

오염된 물품은 정해진 곳에 버림

- 필요시 보호 장구(마스크, 가운, 장갑 등)를 착용하고,

일회용 보호장구는 사용 후 버림

 

⑤ 흡인 물품 관리

 

- 흡인은 코와 입의 가래나 분비물을

음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

의료인이 실시

- 흡인병은 분비물을 버리고,

11회 이상 깨끗이 닦음

- 한 번 사용한 카테터는 에 담근 후,

흐르는 물에 비벼 씻음

- 소독할 컵과 카테터는 깨끗하게 씻어

전용 냄비에 컵과 카테터를 넣고,

충분히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

15분이상 끓여서 소독함

- 소독한 컵은 자연 건조시키고

카테터 등 고무 제품은 쟁반에 널어서 그늘에서 말림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