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. 감염성 질환 예방
1) 감염
(1) 감염의 증상
- 감염이 발생하는 부위
: 열감, 발적, 통증, 부종, 삼출액 증가
- 호흡기계 감염
: 인후통, 기침, 객담, 호흡곤란 등
- 요로 감염
: 하복부통, 배뇨통, 빈뇨, 잔뇨감, 급박뇨, 야뇨,
소변색의 변화, 악취가 나는 소변, 요도 분비물, 요도 소양감,
발열, 오한, 옆구리 통증, 오심, 구토, 설사
- 전신 증상
: 안면홍조, 발열, 발진, 피곤, 의욕 상실,
두통, 근육통, 빈맥(100회/1min),
식욕저하, 탈수 등
(2) 감염 예방 방법
① 손 씻기
: 감염예방에서 가장 기본적이고
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
- 식사 전, 화장실 사용 후, 객담이나 상처배액 등
대상자의 신체분비물을 만진 후
장갑을 착용했더라도 반드시 손을 씻음
- 흐르는 미온수로 손을 적시고 항균 액체 비누를 바름
(고체비누 사용x)
- 비누와 물이 손의 모든 표면에 묻도록 하고
손씻기 6단계를 시행
- 흐르는 온수로 비누를 헹구어 낸 후
일회용 수건 등으로 손의 물기를 제거하고
사용한 수건은 세탁하여 건조한 후 사용
② 분비물 처리
- 배설물을 만질 때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며,
오염된 세탁물은 격리장소에 따로 배출함
- 가정에서는 배설물이 묻은 의류나 물건을
따로 세탁하거나 씻음
- 대상자 물품에 혈액이나 체액이 묻은 경우
찬물로 닦고 더운 물로 헹구며 필요시 소독함
- 배설물 처리 후에는 장갑을 착용하였더라도 손을 씻음
③ 대상자 위생관리
- 대상자의 피부, 옷, 침구에 땀이나 분비물이 많아지면
미생물이 번식해 감염의 요인이 되므로 청결 유지
④ 요양보호사 위생관리
-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
대상자에게 감염전파 위험도 줄일 수 있음
- 매일 샤워나 목욕을 하며, 자주 칫솔질함
- 손을 자주 씻고 로션을 발라 보습함
- 손톱은 짧게 깍고, 가운이나 신발을 깨끗하게 유지
- 대상자와 접촉할 때는 분비물이 묻지 않게 주의하며,
오염된 물품은 정해진 곳에 버림
- 필요시 보호 장구(마스크, 가운, 장갑 등)를 착용하고,
일회용 보호장구는 사용 후 버림
⑤ 흡인 물품 관리
- 흡인은 코와 입의 가래나 분비물을
음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
의료인이 실시
- 흡인병은 분비물을 버리고,
1일 1회 이상 깨끗이 닦음
- 한 번 사용한 카테터는 물에 담근 후,
흐르는 물에 비벼 씻음
- 소독할 컵과 카테터는 깨끗하게 씻어
전용 냄비에 컵과 카테터를 넣고,
충분히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
15분이상 끓여서 소독함
- 소독한 컵은 자연 건조시키고
카테터 등 고무 제품은 쟁반에 널어서 그늘에서 말림
'자격증(요양보호사) > 요양보호각론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Ⅰ. 신체활동 지원 : 안전 관리 (0) | 2023.02.08 |
---|---|
Ⅰ. 신체활동 지원 : 복지용구 사용 (0) | 2023.02.07 |
Ⅰ. 신체활동 지원 : 체위변경과 이동 돕기 ③ (0) | 2023.02.06 |
Ⅰ. 신체활동 지원 : 체위변경과 이동 돕기 ② (0) | 2023.02.02 |
Ⅰ. 신체활동 지원 : 체위변경과 이동 돕기 ① (2) | 2023.0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