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격증(요양보호사)/요양보호개론

Ⅲ. 인권과 직업윤리 (4) :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①

by 그레잇홉스 2023. 1. 4.

 

5.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

1. 근골격계 질환

1) 어깨 통증

: 상체를 많이 쓰는 일을 하는 직업군에서 발생

 

(1) 증상

- 외상없이 어깨관절 전체에 통증 발생

- 움직임이 많았던 밤에

통증이 심하게 나타나고 관절이 뻣뻣해진다.

- 통증이 어깨 팔로 방사된다.

- 팔을 움직일 때 어깨에서 소리 난다.

- 팔을 들고 내릴 때 특히 통증이 심하다.

- 손과 팔을 등 뒤로 돌릴 때 아프다.

 

(2) 스트레칭 운동

: 모든 동작은 10~15초간 유지하고 5~10회 반복

 

(3) 근육 운동

 

2) 손목 통증 (수근관 증후군)

: 손목 관절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

신경이 자극되는 경우 손목에 통증 발생

(1) 증상

- 손바닥과 손가락 저림 증상

- 손의 감각이상(감각저하), 저린 감각,

통증, 근력약화 특징

- 엄지손가락의 반쪽부위와 둘째, 셋째, 넷째 손가락과

이와 연결된손바닥 피부의 감각 둔화

- 손목을 지나치게 손바닥 방향으로

힘을 주어 굽힐때 악화되는 경향

- 엄지손가락의 운동기능장애

물건을 자주 떨어뜨림, 젓가락질 어려움

- 밤에 통증이 악화되어 밤잠을 설치는 경우가 흔하며,

손을 털게되면 저림과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

 

(2) 스트레칭 운동

 

(3) 자가진단법

 

3) 요통

(1) 증상

- 등 허리와 골반 부위에서 시작하여

다리의 , , 뒤로 뻗치는 통증

(방사통)

- 허리디스크 돌출

신경 눌린부위의 다리의 감각이상과 근력약화

- 오래 시간 활동하거나

앉아 있는 경우 통증이 악화

 

< 요통을 예방하면서 물건을 이동하는 방법 >

허리를 펴고 무릎을 굽혀
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지지면을 넓힌다
.

물건을 든 상태에서 방향을 바꿀 때
허리를 돌리지 않고 발을 움직인다.

물체는 최대한 몸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여
들어올린다
.

침대 또는 높고 넓은 바닥에 있는 물체를 움직일때는
한쪽 무릎을 위에 올리고 자세를 낮추어 움직인다
.

 

(2) 요추 안정화 운동

: 척추의 안정성을 제공 요통 예방

 

4) 목 통증

: 오랜 시간 목을 구부리고 있거나 위로 올려다 보는 작업을 많이할 때 발생

 

(1) 증상

- 목이 뻣뻣하고 목덜미가 당긴다.

- 어깨, , 손에 전체 혹은 부분적인 통증 있다.

- 현기증이나 어지럼증과 같은 두통 있다.

- 팔에 힘이 빠진다.

 

(2) 스트레칭 운동

 

(3) 목 근육운동

 

5) 팔꿈치 통증

: 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고,

주먹을 쥐거나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

많이 할 경우 발생

 

(1) 증상

- 손을 펴고 손목을 뒤로 젖힐 때

팔꿈치 안쪽에 통증 발생

- 팔꿈치 외측이나 내측 부위에 압통감이 있고

무언가를 세게 쥘 수가 없음

- 손목을 굽히고 펼 때 통증이 생김

 

(2) 스트레칭 운동

 

<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>

 (1) 초기치료

: 손상후 24~72시간내 치료

휴식 : 외상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조직손상을 막음.

 

냉찜질 : 손상과 부종 감소, 통증과 근경련 감소

2시간마다 20~30분씩 시행.

( 급성 초기치료 - 찜질, 만성통증 - 찜질 )

 

압박

: 부종조절, 원하지 않은 움직임 감소, 통증 감소

(압박붕대 사용)

 

올리기

: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림

부종 감소, 조직손상 감소

 

아픈 부위 고정 : 통증과 근육 경련 감소

 

약물 : 진통제, 근육이완제 사용

 

(2) 급성기 이후

물리치료 및 운동치료

- 온열치료, 전기광선치료, 견인요법

 

스테로이드 주사

- 과도한 사용→ 건의 약화로 파열 가능성 있음

 

수술 증상이 악화되거나 감각장애 발생시

의사와 상의한다.

 

< 전신 스트레칭 >

(1) 목적

근육의 긴장 완화

 

유연성 증진, 관절 가동범위 확장

 

운동신경 촉진

 

혈액순환 촉진

 

기분전환

 

(2) 시행시기

몸이 찌뿌듯하고 뻐근할 때 

 

작업 시작 전,

 

오랫동안 서 있거나 앉아 있은 후

 

(3) 주의사항

같은 동작5~10반복,

동작과 동작사이5~10쉰다.

 

천천히 안정되게 한다.

 

통증을 느끼지 않고

시원하다고 느낄 때까지 계속한다.

 

스트레칭된 자세10~15유지한다.

 

우 균형있게 교대로 한다.

 

호흡은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한다.

 

댓글